통계로 보는 부천, 문화로 발전하고 경제로 도약하는 부천
행정규제개혁 게시판 내용보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담당부서예산법무과전화번호작성일2018-11-0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가구방문 대인면접조사를 통하여 실시한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 만3세 이상 69세 이하 스마트폰(인터넷) 이용자, 1만 가구(29,712명) 대상

 

조사결과, 전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고위험군잠재적위험군)18.6%(7,860천명)로 전년(17.8%)대비 0.8%p 증가하였으나, 최근 3년간 상승폭은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MB0000117820fd


’15년 16.2%(+2%p)→’16년 17.8%(+1.6%p)→’17년 18.6%(+0.8%p)

 

 

 

<과의존 위험군 분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현저성* 증가,조절실패**,문제적결과*** 경험의 3 가지 특성을모두 보이는 경우 고위험군, 이중 2개 이내 특성을 보이면 잠재적 위험군으로 분류

*현저성(salience) : 개인의 삶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생활패턴이 다른 행태보다 두드러지고 가장 중요한 활동이 되는 것

** 조절실패(self-control failure) : 이용자의 주관적 목표 대비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자율적 조절능력이 떨어지는 것

*** 문제적 결과(serious consequences) : 스마트폰 이용으로 인해 신체적·심리적·사회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

연령별로 살펴보면, 유아동 과의존 위험군이 ‘15년 대비 큰 폭으로늘어났으며 성인과 60대도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반면, 청소년은 소폭 감소하였다.

 

 
 EMB0000117820ff

 

 

 

 

부모가 과의존 위험군인 경우, 유아동 및 청소년 자녀도 위험군에 속하는 비율이 부모가 일반사용자군인 경우 보다 높게 조사되어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습관이 자녀에게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MB000011782100

 

 

 

ㅇ 과의존 위험군의 대상별 스마트폰 주 이용 콘텐츠유아동의 경우 게임(89%), 영화·TV·동영상(71.4%)순으로 나타났으며,청소년은메신저(98.8%), 게임(97.8%), 성인·60대는 메신저,뉴스 검색 순으로 조사되었다.

 

 
 EMB000011782101

 

 

 

그 외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의존 요인별 현황)과의존 위험군 3대 요인 중 유아동은 현저성,청소년·성인 및 60대는 조절실패가 가장 두드러진 특징으로 나타났다.

유아동 :다른 어떤 것보다 스마트폰을 갖고 노는 것을 좋아한다(현저성)

청소년,성인,60:스마트폰 이용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조절실패)

(과의존 인식 및 해소방안)우리사회의 스마트폰 과의존 심각성에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65%이상이 ‘심각하다’라고 응답하였으며,

- 과의존 해소를 위한개인적 노력으로는 ‘대체 여가활동의 활용’, ‘교육 및 상담’ 등의 순으로, 정책적으로는 ‘예방교육 및 상담기관 확대’, ‘교육프로그램 이용확대’ 순으로 나타났다.

 

 
 EMB000011782102

 

 

 

ㅇ (교육 도움정도) 과의존 예방·해소를 위한 상담서비스 및 예방교육에 대해 경험자의 50% 이상이 ‘도움 되었다’라고 응답하였다.

 

과기정통부 송정수 정보보호정책관은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 해결에 효과가 높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민·관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면서 “스마트폰 바른 사용 실천을 위한 이용자 한 사람 한 사람의 능동적인 실천노력이 더욱 요구된다고 밝혔다.

 

 

ㅇ 이번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과기정통부는 과의존 위험군 해소를 위해 관계 부처 협력으로 연령대별 맞춤형프로그램 및 국민인식제고를 위한 홍보를 강화하고 특히 과의존위험군이 큰 폭으로 증가한 영유아 중심의 다각적인 방안을 발굴·추진할 계획이다.

 

첨부파일180209 조간 (보도)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hwp
목록보기
다음글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7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 발표
이전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