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부천, 문화로 발전하고 경제로 도약하는 부천
행정규제개혁 게시판 내용보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7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 발표
담당부서예산법무과전화번호작성일2018-11-0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와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서병조)장애인장노년층농어민저소득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에 관한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는 정보취약계층의 PC모바일 등무선 정보통신기기, 인터넷 이용 등 디지털정보에의 접근역량활용 수준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도 15,0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디지털정보화수준(종합) = 디지털 접근수준 + 디지털 역량수준 + 디지털 활용수준

o 디지털 접근수준 : 컴퓨터, 모바일스마트기기 보유, 인터넷접근 가능 정도

o 디지털 역량수준 : 컴퓨터, 모바일 스마트기기, 인터넷 기본적인 이용 능력

o 디지털 활용수준 : 컴퓨터, 모바일 스마트기기, 인터넷 양적질적 활용정도

 

‘17년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국민 대비 정보취약계층디지털정보화 수준은 65.1%로,전년(58.6%)대비 6.5%p 향상되었다.

 

조사 부문별로는,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91%, 역량51.9%, 활용65.3% 수준이며, 매년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

 

<조사부문별 디지털정보화 수준 추이 >

(단위 :%)

 

 
 EMB00000e1822b9

 

 

 

 

 

 

 

일반국민의 정보화수준을 100으로 할 때, 일반국민 대비 정보취약계층의 정보화수준을 의미

 

취약계층별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일반국민 대비 저소득층81.4%,장애인70%, 농어민64.8%, 장노년층58.3%로 나타났다.

 

<정보취약계층별 디지털정보화 수준 추이 >

(단위 :%)

EMB00000e1822ba

 

송정수 정보보호정책관은 “정보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격차해소 지원 노력으로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고 평가하면서,

 

“다만, 아직도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이 일반국민과의 차이가 있는 만큼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첨부파일180221 조간 (보도) 2017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 발표.hwp
목록보기
다음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개 연구개발특구, 2017년도 성과평가 결과 발표
이전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