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부천, 문화로 발전하고 경제로 도약하는 부천
행정규제개혁 게시판 내용보기
(해양수산부) 서부 아프리카 해적활동 증가 추세 지속
담당부서예산법무과전화번호작성일2018-11-07

서부 아프리카 해적활동 증가 추세 지속

- 해수부,‘2018년 3분기 누적 전세계 해적사고 발생 동향’발표 -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는 11월 6일(화) ‘2018년도 3분기까지 전 세계 해적사고 발생 동향’을 발표하고, 기니만 등 서부 아프리카 해역에서의 해적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당해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에 대해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2018년 3분기까지 전세계 해적사고 발생건수는 총 156건으로, 전년 동기 (121건) 대비 28.9% 증가하였다.

 

이는 서부 아프리카 해역에서의 해적사고가 전년 동기 대비 약 2배(31 → 61건)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

 

< 전세계 연도별 3분기 누적 해적사고 발생 건수 (2014?2018) >

(단위 : 건)

구 분

2014

2015

2016

2017

2018

전 세계

연간

해적사고

245

246

191

180

-

(선박피랍)

(21)

(15)

(7)

(6)

-

3분기

해적사고

178

190

141

121

156

(선박피랍)

(17)

(15)

(5)

(5)

(4)

소말리아

해적사고

10

0

1

7

2

서아프리카

33

23

46

31

61

아시아

130

157

72

58

67

기타

5

10

22

25

26

 

해적사고가 늘어나면서 2018년 3분기까지 해적사고로 피해를 입은 선원 수도 164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하였다.

 

해적피해 중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선원납치 사고의 약 95% (37명) 가 서아프리카 기 니만에서 발생한 점이다.

 

< 전세계 연도별 3분기 선원 피해현황 (2014?2018) >

(단위 : 명)

구 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간 합계

479

333

236

191

-

3분기

397

309

175

143

164

사 망

3

1

0

2

0

부 상

10

13

6

3

6

인 질

369

266

110

80

112

납 치

5

10

49

49

39

기 타 (폭행·위협)

10

19

10

9

7

 

올 3분기까지 해적에게 납치된 선원 수는 39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로는 20% 감소하였으나, 2014~2017년 3분기 누적 평균 납치 선원수인 28 명을 웃도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 3분기까지 발생한 모든 선원납치사건 * 의 대부분이 서부 아 프리카 기니만에서 발생한 만큼, 앞으로 이 해역을 항해하거나 정박하는 선박은 높은 수준의 경계를 유지하는 등 해적공격에 따른 피해예방을 위해 특별한 관심과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선원납치 발생지역 및 납치된 인원) 나이지리아(29), 가나(3), 카메룬(3), 베냉(2)

 

이에 해양수산부는 무선통신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서부 아프리카 해역 에서의 해적공격 동향을 수시로 전파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서부 아프 리카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에 대해서는 연안 으로부터 200마일 이상의 충분한 거리를 두고 항해할 것과 해적피해예방요령 * 등 관련지침을 준수할 것을 지속적으로 계도하고 있다.

 

* 위험해역 항해 시 비상훈련실시, 위험해역 진입 전 사전보고, 해적침입방지시설 설치 등

 

최성용 해양수산부 해사안전관리과장은 “서부 아프리카 해역에서 해적 사고의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어 동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은 주의경계 활동에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다.”라며, 선사들의 적극적인 해적피해예방 활동 참여를 당부하였다.

 

 

첨부파일181107(조간) 서부 아프리카 해적활동 증가 추세 지속(해사안전관리과).hwp
목록보기
다음글
(식품의약품안전처) 정부, 국가필수의약품 104개 추가 지정, 총 315개로 확대
이전글
(해양수산부) 국내 최초 해중경관지구로 강원도 고성군, 제주도 서귀포시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