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부천, 문화로 발전하고 경제로 도약하는 부천
행정규제개혁 게시판 내용보기
(한국관광공사) 지방과 수도권 함께 방문한 외래관광객 만족도 최고
담당부서예산법무과전화번호작성일2018-11-15

지방과 수도권 함께 방문한 외래관광객 만족도 최고

- 외래객 지역 방문 유형은 수도권 한정(62.8%), 지방&수도권(19.8%), 지방 한정(17.4%)방문 순

- 지방&수도권 연계 방문 외래객의 평균 체재 기간(10일), 지출비용($1,723.2), 방한 만족도(95.5%), 타인추천의향(92.4%), 동반자 수(3.7명) 가장 높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와 한국관광공사(사장 안영배)는 ‘2017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결과에 기반해 ‘지역 방문 유형별’ 외래관광객 특성 및 ‘광역지자체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결과를 처음으로 발표하였다.  

 

 먼저 방한 외래객의 지역 방문 유형은 크게 ①지방 한정 방문자(지방만 방문한 외래객, 17.4%), ②지방&수도권 방문자(지방과 수도권을 동시 방문한 외래객, 19.8%), ③수도권 한정 방문자(수도권만 방문한 외래객, 62.8%)로 구분되었다.  

 

  분석결과 지방과 수도권을 모두 방문한 외래객의 체재기간(10일), 동반자수(본인제외 3.7명), 1인 평균지출 비용($1,723.2), 방한 만족도(95.5%), 타인추천의향(92.4%) 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해당 유형의 방문자는 보다 많은 동반자들과, 지방과 수도권 간 장거리를 이동하며, 가장 오래 체류하기 때문에 가장 많은 비용을 지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방문율이 가장 높은 유형(57.4%)은 수도권 한정 방문자이며 이들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57.1%로, 지방 한정 방문자(52.4%) 대비 높았다. 수도권만을 방문한 여성 외래객들의 대다수는 젊은 20~30대(70.1%)로, 방한 중 주요활동(중복응답)은 ‘쇼핑(85.5%)’과 ‘식도락 관광(67.2%)’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만을 방문한 외래객의 경우 방한시 고려 요인으로 ‘자연풍경(67.5%)’을 1순위로 꼽았다(수도권 한정, 지방&수도권 방문 유형은 ‘쇼핑’이 1순위). 그리고 지방한정 방문자는 동반자가 가장 적고(본인 제외 2.4명) 가장 짧게 체류하며(평균 5.8일), 가장 적은 경비를 지출한 것으로($1,239.3) 나타났다.

     

  한편 17개 광역지자체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결과, 강원 방문 외래객의 경우 ‘여가/위락/휴가’ 목적 방한 비중(73.8%)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한 겨울(12~2월)에 방문해 ‘스포츠’ 활동을 즐겼다고 응답한 비중이 타 지역 대비 매우 높았으며, 평가 또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 방문 외래객의 경우 주요 방한 목적으로 ‘쇼핑’을 선택한 비중이 15.6%로 가장 높았고, 쇼핑 만족도(91.7%) 또한 평균(88.1%)을 상회하며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울산(44.6%)과 충남(44.4%)은 타 지역 대비 비즈니스 목적 방한 비중이 컸다. 호남지역을 방문한 외래객의 경우 방한시 주요 고려요인 및 참여활동으로 ‘역사/문화유적 고려’ 및 ‘고궁/역사 유적지 방문’을 선택한 비중이 높은 편이었다. 최근 한국 미식관광에 대한 외래객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음식 만족도는 부산과 광주가 동일하게 89.0%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앞으로도 ‘고르게 발전하는 지역’이라는 국정목표에 맞추어, 지역별 외래관광객 특성 심층분석 결과를 지자체에 제공해 관광을 통한 지역균형 발전을 지원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담당 : 관광빅데이터센터 박철현 센터장 (033-738-3321) / 류설리 통계관리사 (3327)

* 붙임 : 2017년 지역 방문 유형별 외래관광객 특성(요약)  및 2017년 광역지자체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요약) [보도자료 내]

* 17개 광역지자체별 상세 결과는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kto.visitkorea.or.kr)>알림>자료>관광실태조사)에서 확인 가능

첨부파일[한국관광공사]지방과수도권함께방문한외래관광객만족도최고.hwp
목록보기
다음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년 유료방송서비스 시범평가 결과 발표
이전글
(공정거래위원회) 전자상거래 수출, 신속하고 간편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