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부천, 문화로 발전하고 경제로 도약하는 부천
행정규제개혁 게시판 내용보기
(환경부) 백두대간 나비 138종을 한 눈에…자료집 발간
담당부서예산법무과전화번호작성일2018-11-29

▷ 국립생태원, 백두대간 보호지역에 서식하는 나비 138종을 분석하여 나비의 특성과 잠재서식 가능성을 보기 쉽게 정리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박용목)은 백두대간 보호지역에 서식하는 나비 138종의 출현 정보를 정리한 '백두대간 나비의 분포와 잠재 서식지 분석' 자료집을 11월 30일 발간한다고 밝혔다.

이번 자료집은 2007년부터 최근까지 진행된 10년간의 백두대간 보호지역 생태계 조사와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 중에서 나비 분야를 따로 뽑아내어 정리한 것이다.
제1차 백두대간보호지역 생태계조사('07-'10), 백두대간 생태계 정밀조사('12-'14), 제2차 백두대간보호지역 생태계조사('15-'17),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06-'13)

백두대간 보호지역이란 백두대간 중 생태계, 자연경관 또는 산림 등에 대하여 특별한 보호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을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고시한 지역을 말한다.
백두대간: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 설악산, 태백산, 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한반도의 중심 산줄기

자료집은 백두대간 내 나비의 분포 가능성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서식지수를 평균하여 지도로 표현했으며, 나비의 종을 과(Family)별로 분류하여 나비의 형태와 특징, 서식지 및 국내외 분포현황 등에 대한 설명을 함께 수록했다.
이번 자료집에 수록된 나비는 총 138종이며, 이 중 네발나비과가 70종(50.7%)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전나비과 26종(18.9%), 팔랑나비과 20종(14.5%), 흰나비과 13종(9.4%), 호랑나비과 9종(6.5%) 순으로 서식했다.

네발나비과는 전세계에 약 600여개 속 5,700여 종이 분포하며 앞다리 한쌍이 퇴화되어 매우 짧기 때문에 언뜻 보면 다리가 4개인 것처럼 보여 '네발나비'란 이름이 붙었다. 대표적인 종으로 네발나비, 표범나비 등이 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인 깊은산부전나비(부전나비과)와 왕은점표범나비(네발나비과)는 설악산, 오대산 등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은줄팔랑나비(팔랑나비과)는 물억새, 갈대류 등 수변식물이 풍부한 습지지역을 선호하는 종으로 백두대간 일대에서는 설악산 향로봉 일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은줄팔랑나비는 올해 4월 논산 등 금강 일대에서 수변 생태공원 7곳에서 애벌레 346마리, 어른벌레(성충) 2마리 등 총 348마리가 국내 최대 규모로 발견된 바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 생물종은 준위협(NT) 봄처녀나비(네발나비과), 큰주홍부전나비(부전나비과), 큰점박이푸른부전나비(부전나비과) 등 3종이 확인됐다.  

국가 적색목록 위급종(CR)에 오른 북방점박이푸른부전나비(부전나비과)는 오대산 일대에서만 관찰되고 있으며, 위기종(EN)인 담색어리표범나비(네발나비과)와 참알락팔랑나비(팔랑나비과)도 설악산과 오대산 일대에서 관찰됐다.

박용목 국립생태원장은 "백두대간 보호지역에 서식하는 나비를 통해 백두대간이 한반도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보루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표본수가 부족하여 분석되지 못한 종에 대한 연구와 국내외 멸종위기에 처한 종들의 서식처 및 생태를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 생태계 기초자료를 꾸준히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자료집은 11월 30일부터 관계기관, 지자체 및 주요 도서관 등에 무료로 배포될 예정이며, 국립생태원 누리집(http://www.nie.re.kr)에도 공개될 예정이다.  

붙임  1. 책 표지 및 내용.
        2. 백두대간 나비 출현 현황.
        3. 백두대간보호지역에 출현한 나비 사진.
        4. 질의응답.  
        5. 전문용어 설명.  끝.

첨부파일
목록보기
다음글
(산업통상자원부) ‘18.10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전년동기 대비 6.7% 증가
이전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년 연구개발활동 조사 결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