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부천, 문화로 발전하고 경제로 도약하는 부천
행정규제개혁 게시판 내용보기
(통계청) 2018년 6월 고용동향 보도참고자료
담당부서예산법무과구분작성일2018-10-23

[ 2018년 6월 고용동향 보도참고자료 ]

저출산고령화로 인하여 15~64세(생산가능인구)의 감소가 시작되고 65세이상(고령층) 인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고용동향 분석시 취업자의 증감에서 인구효과를 고려하고 비율지표를 활용할 필요가 있음

< 인구구조 변화 분석 >

ㅁ 2017년 기준, 15세 이상 전체인구는 전년대비 31만명 증가했으나 2033년을 정점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
   * 출처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15년~2065년)

ㅇ 15~64세(생산가능인구)는 2017년부터 감소가 시작되어 전년대비 1만명 감소하였고, 2020년에는 24만명, 2024년에는 34만명 급감할 전망

ㅇ 15~29세(청년층)는 2016년부터 감소가 시작되어 2017년에는 전년대비 9만명 감소하였고, 향후 지속적으로 감소할 전망

ㅇ 반면 65세이상(고령인구)은 전년대비 31만명이 증가했으며,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생)가 진입하는 2020년에는 44만명 급증하여 2025년에는 총 1,000만명을 초과할 전망

< 취업자 증감 변화 분석 >

ㅁ 고용동향의 취업자 증감은 인구효과의 영향을 받음

ㅇ 인구효과란, 전년도의 고용률이 유지된다고 가정할 경우 인구증감으로 인해 발생하는 취업자 증감분을 의미함
    * 인구효과 = 전년대비 인구증감 × 전년도 고용률

ㅇ 고용상황에 특별한 변동이 없는 경우 인구효과분 정도의 취업자 증감을 기대할 수 있음

ㅁ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7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2020년에 24만명 감소하는 등 향후 급감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ㅇ 15~64세 취업자 또한 인구효과 측면에서는 감소가 예상되며 그 폭도 확대될 것으로 보임

< 고용통계 해석시 시사점 >

ㅁ 취업자 증감 분석시 인구효과를 고려할 필요

ㅇ 인구증가 규모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취업자 증가 규모만을 보고 고용상황을 판단할 경우, 실제로 고용상황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해석을 내릴 우려가 있음

ㅇ 연령대별로도 인구증감 폭을 함께 고려한다면 특정 연령의 고용상황을 합리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

ㅁ ‘비율지표’를 적극 활용할 필요

ㅇ 고용률, 실업률 등 비율지표는 분모의 변화가 함께 반영되므로, 인구가 급변하는 국면에서 고용상황을 판단하기에 보다 적절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2018년 6월 고용동향 보도참고자료(배포용).hwp
목록보기
다음글
(통계청) 2018년 2분기 지역경제동향
이전글
(통계청) 2018년 6월 고용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