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부천, 문화로 발전하고 경제로 도약하는 부천
행정규제개혁 게시판 내용보기
(기획재정부)'16.1/4분기 가계동향 및 '15년 소득분배 분석
담당부서예산법무과구분작성일2016-10-2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보도참고자료.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00pixel, 세로 127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6년 03월 29일 오후 3:12

보도일시

2016. 5. 28() 조간

배포일시

2016. 5. 27.() 09:30

담당부서

경제정책국 정책기획과

담당과장

김이한 (044-215-2810)

담 당 자

김병철 사무관 (044-215-2813)

 

제목: 가계소득 0.8% 증가, 소득분배 개선세 지속

    - 161/4분기 가계동향 및 15년 소득분배 분석

 ◇ 지니계수 등 15년 소득분배지표06년 이후 가장 양호*

 

    * 저소득층 소득 증가 등으로 지니계수, 소득 5분위 배율, 상대적 빈곤율, 중산층 비중 등 모든 소득분배지표가 ‘06년 이후 가장 개선

 

 정부일자리 중심 국정운영을 통해 가계소득 증대 소비 증가선순환 구조 구축 및 서민생활안정에 최선을 다할 계획

 

 (1/4분기) 가계 소득․지출전년동기 대비 증가하였으나, 고용둔화, 유가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분기 보다 증가폭둔화

 

 (소득) 가계소득(월평균 455.5만원)전년 동기 대비 0.8% 상승하였으나, 전분기 대비 증가폭둔화

 

    * 명목증가율(전년동기비, %): (15.1/4)2.6 (2/4)2.9 (3/4)0.7 (4/4)0.9 (16.1/4)0.8

 

   - 고용둔화* 등으로 근로소득 증가율감소하고 이자소득(34.9%) 감소 등으로 인한 재산소득 감소주요원인

 

    * 취업자수 증감(전년동기비, 만명) : (15.1/4)35.4 (3/4)31.0 (16.1/4)28.7

 

   - 사업소득은 월세* 증가로 인한 임대소득(11.4%) 증가 등으로 증가세 확대, 비경상소득은 경조소득 등으로 증가 전환

 

    * 월세거래량 비중(%) : (15.1/4)43.1 (2/4)43.7 (3/4)45.6 (4/4)44.6 (16.1/4)46.6

 

  (지출) 가계지출유가하락에 따른 지출부담 완화 등으로  0.5% 증가하며 전분기 대비 증가폭 둔화

 

    * 명목증가율(전년동기비, %): (15.1/4)0.2 (2/4)1.0 (3/4)0.5 (4/4)1.7 (16.1/4)0.5

 

 

   - 유가하락 요인(0.9%p*)제외하면 가계지출1.4% 증가 추정

 

    * 주거용 연료비(173.2152.1천원, 0.6%p), 운송기구 연료비(119.5109.6천원, 0.3%p) 지출 감소에 따른 가계지출 증감 기여율

 

  (가계수지) 처분가능소득(1.0%) 흑자액(1.9%) 모두 증가

 

   - 경기 및 소비심리 부진 등의 영향으로 평균소비성향(72.1%) 전년동기(72.3%) 대비 0.3%p 하락

 

(15년 소득분배) 지니계수 소득분배 지표들의 개선세 지속

 

 지니계수(0.295), 소득 5분위 배율(5.11), 상대적 빈곤율(13.8%), 중산층 비중(67.4%) 모두 전체가구 통계가 작성된 06년 이후 가장양호

 

   - 기초연금근로장려금(EITC) 맞춤형 급여체계 등으로 1분위 소득가장 빠른 속도(7.2%)로 증가하며 소득분배 개선

 

    * 분위별 소득증가율(15, %) : (1분위)7.2 (2)3.7 (3)3.1 (4)1.3 (5)1.2

 

연도별 소득분배지표

구 분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지니

계수

전체가구(1인․농가 포함)

0.306

0.312

0.314

0.314

0.310

0.311

0.307

0.302

0.302

0.295

전국가구(2인이상 비농가)

0.291

0.295

0.296

0.294

0.288

0.288

0.285

0.280

0.278

0.270

5분위

배율()

전체가구(1인․농가 포함)

5.38

5.60

5.71

5.75

5.66

5.73

5.54

5.43

5.41

5.11

전국가구(2인이상 비농가)

4.83

4.95

4.98

4.95

4.81

4.80

4.69

4.55

4.45

4.22

상대적

빈곤율(%)

전체가구(1인․농가 포함)

14.3

14.8

15.2

15.3

14.9

15.2

14.6

14.6

14.4

13.8

전국가구(2인이상 비농가)

12.6

12.9

12.9

13.0

12.5

12.3

12.2

11.7

11.0

10.4

중산층

비중(%)

전체가구(1인․농가 포함)

64.6

63.9

63.1

63.1

64.2

64.0

65.0

65.6

65.4

67.4

전국가구(2인이상 비농가)

67.4

66.7

66.3

66.8

67.5

67.7

68.9

69.5

69.8

72.4

 

(평가) 16.1/4분기 가계 소득․지출 증가세둔화되는 가운데, 지니계수 등 15년 소득분배지표06년 이후 가장 개선

 

 임시공휴일(5.6) 지정, 개소세 인하 연장, 완만한 유가 상승** 등으로 가계 지출 증가세개선될 가능성

 

    * 임시공휴일 효과(16.5.6~8일 → ’15.2~5) : (백화점 매출액)16% (교통량) 9%

   ** 두바이유 가격($/B) : (16.1)26.9 (2)28.9 (3)35.2 (4)39.0 (5.1~26)43.9

 

 기초연금․근로장려금(EITC)․맞춤형 급여 등 취약계층 지원대책확대․효율화 등을 통한 소득분배 개선 노력 지속

 

    * (기초연금) 수급기준 상향조정(단독가구 ‘1593만원 → ’16100만원)
(
근로장려세제) 단독가구 지급대상을 60세 이상에서 50세 이상으로 확대

 

 

 

참 고

 

 161/4분기 가계동향 및 15년 소득분배 분석

 . 161/4분기 가계소득․지출 동향

 

1. 가계소득 동향

 

(가계소득) 월평균 소득 455.5만원(전년동기대비 0.8% 증가)

 

 명목소득증가하고 있으나, 전분기 대비 증가율소폭 둔화

 

    * 명목증가율(전년동기비, %) : (15.1/4)2.6 (2/4)2.9 (3/4)0.7 (4/4)0.9 (16.1/4)0.8

 

 물가(1.0%)소폭 상승한 가운데 실질소득(0.2%)은 전분기(0.2)와 동일한 수준으로 감소

 

    * 실질증가율(전년동기비, %) : (15.1/4)2.0 (2/4)2.3 (3/4)0.0 (4/4)0.2 (16.1/4)0.2

    * 물가상승률(전년동기비, %) : (15.1/4)0.6 (2/4)0.5 (3/4)0.7 (4/4)1.1 (16.1/4)1.0

 

분기별 소득증가율(전년동기비, %)

가구당 월평균 소득(천원, 전년동기비, %)

 

Not supported Object.

 

16.1/4

금액

구성비

증감율

    

4,555.2

100.0

0.8

 경상소득

4,358.9

95.7

0.8

  근로소득

3,021.8

66.3

0.3

  사업소득

848.6

18.6

3.3

  재산소득

18.7

0.4

21.0

  이전소득

469.7

10.3

0.7

 비경상소득

196.3

4.3

2.3

 

 사업소득(3.3%)비경상소득(2.3%)크게 증가하였고 근로소득(0.3%)재산소득(21.0%) 증가율 둔화

 

   - 취업자 둔화* 등에 따라 근로소득 증가율다소 하락하고, 이자소득 감소**(34.9%) 등으로 재산소득 감소

 

    * 취업자 증감(동기비,만명) : (15.1/4)35.4 (2/4)30.8 (3/4)31.0 (4/4)37.6 (16.1/4)28.7

   ** 예금은행 수신금리(%) : (15.1/4)1.77 (16.1/4)1.33

 

   - 자영업자 감소*에도 불구하고 임대소득 증가(11.4%) 등으로 사업소득크게 증가하고 비경상소득증가세전환

 

    * 자영업 취업자 증감(전년동기비, 만명) : (15.1/4)4.9 (3/4)13.6 (16.1/4)9.6

 

2 가계지출 동향

 

(가계지출) 월평균 가계지출352.0만원(0.5% 증가)으로 소비지출(0.6%), 비소비지출(0.3%) 모두 증가하였으나 증가율 둔화

 

    * 소비지출증가율(전년동기비,%) : (15.1/4)0.0 (2/4)0.7 (3/4)0.5 (4/4)1.7 (16.1/4)0.6
비소비지출증가율(전년동기비,%) : (15.1/4)1.0 (2/4)2.0 (3/4)0.4 (4/4)1.6 (16.1/4)0.3

 

 소비지출은 월평균 266.9만원(전년동기대비, 명목 0.6%, 실질 △0.4%)

 

   - 처분가능소득 증대(1.0%)에도 불구하고 경기 및 소비심리* 부진 등의 영향으로 소비지출전반적으로 둔화되는 모습

 

    * 경제성장률(전기비, %) : (15.1/4)0.8 (2/4)0.3 (3/4)1.2 (4/4)0.7 (16.1/4)0.4
소비자심리지수 : (15.10)105 (11)105 (12)102 (16.1)100 (2)98 (3)100

 

  12 지출항목 중 주류담배․교통․오락문화 등 6 항목 증가하고 주거수도광열․보건․통신 등 6 항목 감소

 

   - 가격 인상* 등의 영향으로 맥주, 소주 주류지출증가(8.3%)하였고 담배지출 증가(30.6%)

 

    * 주류 가격지수(전년동기비, %) : (15.1/4)0.2 (2/4)0.7 (3/4)1.3 (4/4)1.0 (16.1/4)2.8

 

   - 유가 하락에 따른 휘발유 가격* 하락에도 불구 개소세 인하 연장 등으로 인한 자동차 구입비용(12.9%)** 증가교통비 상승

 

    * 휘발유가격() : (15.1/4)1,485 (2/4)1,543 (3/4)1,544 (4/4)1,468 (16.1/4)1,363

   ** 승용차 내수판매(전년동기비, %): (16.1)4.5 (2)9.0 (3)17.0

 

   - 월세가구 증가*주거비(10.3%)증가하였으나, 유가 하락으로 인한 연료비(12.2%) 감소주거․수도․광열 지출 감소

 

    * 월세거래량 비중(%) : (15.1/4)43.1 (2/4)43.7 (3/4)45.6 (4/4)44.6 (16.1/4)46.6

 

   - 알뜰폰 활성화* 등으로 이동통신기기 구입비용(5.6%)둔화되면서 통신비 지출(0.3%)감소

 

    * 알뜰폰 가입자 수(만명): (15.3)497 (6)531 (9)560 (12)592 (16.3)625

 

 비소비지출은 월평균 85.2만원(전년동기비 명목 0.3%, 실질 △0.7%)

 

   - 가계대출금리 하락* 등으로 이자비용(0.4%) 감소

 

    * 가계대출금리(잔액기준, %): (15.1/4)3.84 (2)3.63 (3)3.46 (4)3.35 (16.1/4)3.33

 

3. 가계수지 동향

 

(가계수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370.4만원(전년동기대비 1.0% 증가)

 

 흑자액*(103.5만원)전분기(97.8만원) 대비 증가

 

    * 흑자액 = 처분가능소득 – 소비지출 ( = 가계소득 – 가계지출)

 

 평균소비성향*(72.1%)전분기(72.3%) 대비 0.2%p 하락

 

    * 평균소비성향 = (소비지출 / 처분가능소득) x 100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천원, %)

 

13

14

15

 

16

 

 

 

1/4

2/4

3/4

4/4

1/4

         

3,381.0

3,497.9

3,562.9

3,668.4

3,483.8

3,582.3

3,527.7

3703.6

            

900.2

946.8

999.8

1,015.0

989.5

1,019.8

978.0

1,034.8

         

73.4

72.9

71.9

72.3

71.6

71.5

72.3

72.1

 

4. 소득분위별 동향

 

(분위별 소득) 3, 4분위는 사업소득(6.7%) 가계소득증가했으나, 1, 2분위는 근로소득(7.0%)을 중심으로 가계소득감소

 

    * 분위별 소득증가율(전년동기비, %) : (1분위)2.9 (2)0.9 (3)1.1 (4)0.9 (5)1.8

 

 임시․일용직* 고령층**(1분위 가구주 평균 연령 60.6) 취업자 둔화, 기저효과*** 등으로 1분위 가계소득 감소

 

    * 16.1/4분기 취업자수 증가율(전년동기비, %) : (임시직)0.3 (일용직)6.2

   **  60~64세 취업자 증감(전년동기비, 천명) : (15.1/4)146 (16.1/4)107

  *** 15.1/4분기 가계소득 증가율(전년동기비, %) : (1분위)7.6 (전체평균)2.6

 

 (분위별 지출) 1~3분위에서 소비지출 감소한 반면 45분위에서 소비지출 증가

 

    * 소비지출 증가율(전년동기비, %) : (1분위)1.3 (2)1.4 (3)1.7 (4)0.4 (5)3.8

 

 1~3분위는 주거․수도광열(3.7%), 교육(11.7%), 오락․문화(5.0%) 등을 중심으로 소비지출감소

 

 4~5분위 주류담배(22.6%), 오락문화(5.8%) 등에서 지출 증가

 

 . 15년 연간 소득분배 변화

 

소득분배지표들은 전반적으로 개선흐름 지속

 

 15에는 1, 2분위 소득(7.2%, 3.7%)가장 크게 증가하는 등 저소득층 소득점유율상승하면서 소득분배 개선

 

    * 소득점유율(14년→’15, %,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 (1분위)6.97.2 (2)13.713.8 (3)18.318.5 (4)23.923.7 (5)37.236.8

 

 지니계수(0.295), 상대적 빈곤율(13.8%), 소득 5분위 배율(5.11) 모두 전체가구 통계를 생산한 06년 이후 최저수준을 기록

 

   - (지니계수) 140.302에서 ’150.295으로 0.007p 하락

 

   - (소득 5분위 배율) 155.11배로 ’145.41배 보다 0.3p 하락

 

   - (상대적 빈곤율) 1414.4%에서 ’1513.8%0.6%p 하락

 

지니계수

소득5분위배율()

상대적 빈곤율(%)

 

Not supported Object.

 

 

Not supported Object.

 

 

Not supported Object.

 

    * 상대적 빈곤율 : 중위소득 50% 미만 가구의 비중
소득 5분위 배율 : 상위 20%의 평균소득 / 하위 20%의 평균소득

 

 중산층* 비중은 전체․비농가․도시가구 모두에서 증가

 

    * OECD 기준에 따라 중위소득 50% 이상 150% 미만으로 파악

 

15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중산층 비중(단위 : %)

구 분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전체가구

(1인․농가 포함)

-

-

-

64.6

63.9

63.1

63.1

64.2

64.0

65.0

65.6

65.4

67.4

전국가구

(2인이상 비농가)

70.4

68.7

68.0

67.4

66.7

66.3

66.8

67.5

67.7

68.9

69.5

69.8

72.4

도시 2인 이상

71.8

70.0

69.2

68.3

67.0

66.3

66.9

67.5

67.7

69.1

69.7

70.0

72.6

 

 . 평가 및 시사점

 

 (1/4분기) 취업자 둔화 등으로 가계소득 증가세 소폭 감소 가운데 유가하락 등의 영향으로 소비지출 증가폭 둔화

 

  (소득) 가계소득0.8% 증가하며 전분기 대비 증가폭 둔화

 

   - 취업자 둔화 등으로 근로소득(0.3%) 증가세제약되고 이자소득 감소 등으로 재산소득(0.7%) 감소된데 주로 기인

 

  (지출) 가계지출유가하락에 따른 지출부담 감소 등으로  0.5% 증가하며 전분기(1.7%) 대비 증가폭 둔화

 

   - 유가하락 요인(0.9%p*)제외하면 가계지출1.4% 증가 추정

 

    * 주거용 연료비(173.2152.1천원, 0.6%p), 운송기구 연료비(119.5109.6천원, 0.3%p) 지출 감소에 따른 가계지출 증감 기여율

 

  (가계수지) 처분가능소득(1.0%) 흑자액(1.9%) 모두 증가

 

   - 평균소비성향(72.1%)전년동기(72.3%) 대비 0.3%p 하락

 

(15년 소득분배) 소득분배 지표들은 전반적 개선세 지속

 

 지니계수(0.295), 상대적 빈곤율(13.8%), 소득 5분위 배율(5.11) 모두 전체가구 통계를 생산한 06년 이후 최저수준을 기록

 

(시사점)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을 통해 가계소득 증대 소비 증가선순환 구조 구축 서민생활 안정최선을 다할 필요

 

  임시공휴일(5.6) 지정, 개소세 인하 연장, 완만한 유가 상승** 등으로 가계 지출 증가세개선될 가능성

 

    * 임시공휴일 효과(16.5.6~8일 → ’15.2~5) : (백화점 매출액)16% (교통량) 9%

   ** 두바이유 가격($/B) : (16.1)26.9 (2)28.9 (3)35.2 (4)39.0 (5.1~26)43.9

 

 ㅇ 기초연금․근로장려금(EITC)․맞춤형 급여 등 취약계층 지원대책확대․효율화 등을 통한 소득분배 개선 노력 지속

 

    * (기초연금) 수급기준 상향조정(단독가구 ‘1593만원 → ’16100만원)
(근로장려세제) 단독가구 지급대상을 60세 이상에서 50세 이상으로 확대

첨부파일160523 가계동향(보도자료용)-최종.hwp
목록보기
다음글
(산업통상자원부)2016년4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이전글
(한국은행)2016년 5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