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부천, 문화로 발전하고 경제로 도약하는 부천
행정규제개혁 게시판 내용보기
(관세청) 2018년 10월 월간 수출입 현황(확정치)
담당부서예산법무과전화번호작성일2018-11-15

1. ‘18. 10월 수출입 현황

 

○ (총 괄) 10월 월간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22.7% 증가한 549억 달러, 수입은 28.1% 증가한 485억 달러로, 무역흑자 65억 달러를 기록하여 ‘12.2월 이후 81개월 연속 흑자 달성

 

○ (수 출)

 -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반도체*(22.4%)?석유제품**(75.2%)?승용차(36.7%)는 증가, 무선통신기기(△11.0%)?선박(△55.7%)은 감소

 * 중국(11.7%), 베트남(36.0%)을 중심으로 디램, 집적회로 등 반도체 수출 증가

** 대만(317.8%), 중국(45.1%), 일본(430.6%) 등에 제트연료, 경유, 나프타 등 석유제품 수출 증가

 -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중국(17.6%), 미국(47.6%), EU(37.1%), 베트남(10.1%), 일본(50.5%) 등은 증가, 중동(△3.8%)은 감소

 

○ (수 입)

 -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원유(54.1%)?기계류(20.2%)?의류(42.6%)는 증가, 제조용 장비(△0.2%)?철광(△2.0%)은 감소 (소비재 : 34.9% 증가) 의류(42.6%)?승용차(8.2%)?담배(98.8%) 등은 증가, 은(△34.4%)?후추(△45.3%) 등은 감소  (원자재 : 38.4% 증가) 원유(54.1%)?가스(81.0%) 등은 증가, 철광(△2.0%)?동(△3.5%) 등은 감소 (자본재 : 11.3% 증가) 기계류(20.2%)?무선통신기기(25.3%) 등은 증가, 제조용 장비(△0.2%)?광학기기(△5.1%) 등은 감소

 - (국가별) 주요 수입대상국 중에 중국(25.6%), 중동(37.5%), 미국(62.1%), EU(13.8%), 베트남(34.4%) 등은 증가, 홍콩(△1.6%)은 감소

 

*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보도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181115보도자료+10월+수출입현황확정치.hwp181115보도자료+10월+수출입현황확정치.pdf
목록보기
다음글
(환경부) 국립생태원, 생태교양총서 '새의 번식’ 발간
이전글
(한국은행) 2018년 10월 수출입물가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