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부천, 문화로 발전하고 경제로 도약하는 부천
행정규제개혁 게시판 내용보기
(통계청) 2014년 최저생계비 163만원, 5.5% 인상
담당부서기획예산과전화번호625-2551작성일2013-10-31

2014년 최저생계비 163만원, 5.5% 인상


내년 최저생계비는 4인 가구 기준 5.5% 인상된 1,630,820원으로, 현금급여기준은 4.2% 인상된 1,319,089원으로 인상 결정
 

최저생계비 인상률은 계측년도 평균 인상률인 5.3%를 상회하는 수준
 

올해는 2010년 이후 3년만의 계측년도로서, 국민생활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생활의 질 변화를 반영
 

주거비 산출을 위한 기준면적을 기존 37㎡에서 40㎡로 확대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가장․주부의 동내의, 장갑, 운동화 등 피복신발비 내구연수 단축
 

생활실태 변화에 따라 디지털TV, 디지털카메라 등이 추가되는 한편, 아날로그TV, 비디오, 카메라, 필름 등은 제외
 

금번 결정된 최저생계비는 기초생활보장제도가 개별급여 체계로 전환되기 전인 2014년 1월부터 9월까지 적용될 예정임
2014년 10월부터는 급여기준에 상대적 생활수준을 반영하기 위하여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방식 도입을 추진
 

보건복지부는 8월 14일 중앙생활보장위원회(위원장 : 진영 장관)의 심의를 거쳐 2014년 최저생계비를 금년 대비 5.5%
인상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2014년 1월 1일부터 적용될 내년 최저생계비는 4인 가구 163만원, 1인 가구 60만원 수준이 된다.
 

<2013년 및 2014년 가구원수별 최저생계비>
                                                                                                                                   (단위: 원/월)

 
구분2013년 최저생계비2014년 최저생계비
1인 가구572,168603,403
2인 가구974,2311,027,417
3인 가구1,260,3151,329,118
4인 가구1,546,3991,630,820
5인 가구1,832,4821,932,522
6인 가구2,118,5662,234,223


이와 함께 현금급여 기준을 4.2% 인상하여, 4인 가구 132만원, 1인 가구 49만원으로 결정하였다.
 

현금급여기준은 소득이 전혀 없는 수급자에게 현금으로 지급할 수 있는 최대 상한액으로, 최저생계비에서 현물로 지급되는
의료비·교육비와 TV수신료 등 타법지원액을 차감한 금액이다.

<2013년 및 2014년 현금급여기준>

                                                                                                        (단위: 원/월)

구분2013년 현금급여기준2014년 현금급여기준
1인 가구468,453488,063
2인 가구797,636831,026
3인 가구1,031,8621,075,058
4인 가구1,266,0891,319,089
5인 가구1,500,3151,563,120
6인 가구1,734,5411,807,152

수급자는 현금급여기준에서 해당가구의 소득인정액(소득평가액+재산의 소득환산액)을 차감한 금액을 매월 생계급여·
주거급여로 지급받게 된다.
 

* 소득인정액이 40만원인 4인 가구: 92만원 지급(132만원-40만원)
 

올해는 3년만의 최저생계비 계측년도로서, 생활실태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신규품목 추가, 일부 품목의 사용량 조정 등을통해
생활실태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첫째, 주거비 산출을 위한 기준면적을 기존 37㎡에서 40㎡로 확대 반영하여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을 고려하였다.
주거비 산출 기준면적은 2005년 이후 37㎡로 유지되어 왔으나, 저소득층 주거비 부담 등을 고려하여 확대되었다.
 

둘째, 가장․주부의 피복신발비의 내구연수를 이용실태를 반영하여 단축하였다.
특히 내구연수가 4~6년에 이르던 동내의, 장갑, 운동화 등의 내구연수를 2~3년으로 조정하여 현실화하였다.
 

셋째, 생활실태 변화에 따라 디지털TV, 디지털카메라 등을 추가하는 한편, 아날로그TV, 비디오, 카메라, 필름 등은 제외하였다
.2014년 최저생계비 인상률인 5.5%는 역대 3번째 수준의 인상률로, 계측년도 평균 최저생계비 인상률 수준을 상회하며,

2013년 최저생계비 인상률인 3.4%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다.
금번 결정되는 최저생계비는 2014년 1월부터 9월까지 적용되며, 2014년 10월부터는 개별급여 전환과 함께 상대적 생활수준
 변화를 급여기준에 반영하기 위하여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방식 도입이 추진된다.

*** 자세한 내용은 붙임 파일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 출처 : 통게청

첨부파일[8.14.수.배포즉시]2014년_최저생계비_163만원__5.5%_인상.hwp
목록보기
다음글
(통계청) '13.7월 주택거래량은 약 4.0만건으로 전년동월대비 30.3% 감소
이전글
(통계청) 2013년 2/4분기 국내 인터넷뱅킹서비스 이용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