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부천, 문화로 발전하고 경제로 도약하는 부천
행정규제개혁 게시판 내용보기
(국토교통부) 18년 상반기 항공여객 5,807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 기록
담당부서예산법무과전화번호작성일2018-11-26

                   - '18년 6월 항공여객 11.2% 증가, 상반기 전체 9.4% 증가

2018년 6월 및 상반기 기간 동안 항공여객과 항공화물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기록했다. 특히 상반기 항공여객은 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한 5,807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이전 최고실적은 ‘17년도 5,308만 명)를 갱신하였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2018년 6월 항공여객 및 항공화물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1.2%(국제 17% 증가, 국내 0.8% 감소), 4.1% 증가하였고, 상반기 항공여객 및 항공화물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4%(국제 13.6% 증가, 국내 0.4% 감소), 3.5% 증가했다고 밝혔다.
* 항공여객(만 명) : 3,838(’14. 상.) → 4,350(’15. 상.) → 4,980(’16. 상.) → 5,308(’17. 상.) → 5,807(’18. 상.)
* 항공화물(만 톤): 179(’14. 상.) → 188(’15. 상.) → 194(’16. 상.) → 210(’17. 상.) → 217(’18. 상.)


‘18년 6월 실적

6월 국제선 여객은 해외여행 강세에 따른 저비용항공사 공급석 확대(22.6%)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 성장한 699만 명을 기록했다.
* 국제여객(만 명): 459(’14. 6.) → 404(’15. 6.) → 597(’16. 6.) → 598(’17. 6.) → 699(’18. 6.)

지역별로는 중국(34.4%)·일본(16.9%)·동남아(14.3%) 등을 중심으로 전 지역 노선에서 성장세를 보였으며, 특히, 중국노선의 경우 ‘18.3월부터 전환된 (+) 성장세가 ’18.6월(+34.4%)에도 이어지고 있으나, ‘16.6월에 비해서는 여전히 감소세(-25.9%)를 보여 아직까지 완전한 회복은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전년 동월 대비(%) : (3월) -22.5 → (4월) -47 → (5월) -45.6 → (6월) -44.9 → (7월) -45.2 → (8월) -38.8 → (9월) -31.1 → (10월) -29 → (11월) -22.3 → (12월) -16.2 → (18.1월) -22.1 → (18.2월) -21 → (18.3월) 10.4 → (18.4월) 43.9 → (18.5월) 39.8 → (18.6월) 34.4
* 중국노선 : (‘16.6월) 181만 명 → (’17.6월) 100만 명 → (‘18.6월) 134만 명


공항별로는 인천(14.2%)·김포(15.3%)·제주(132.6%)·김해(19%)공항 뿐만 아니라 무안(261.7%)·양양(116.1%)·청주(33.2%) 대구(33.2%) 등 모든 공항에서 성장세를 나타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가 전년 동월 대비 9.1% 증가했고, 국적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28.9% 증가하여 국적사 분담률은 68.6%**를 기록했다.(대형 39.9%, 저비용 28.7%)
* 국적항공사 분담률(%): 62.2(’14. 6..) → 65.2(’15. 6.) → 63.6(’16. 6..) → 68.8(’17. 6..) → 68.6(’18. 6.)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11.1(’14. 6.) → 13.5(’15. 6..) → 18(’16. 6..) → 26(’17. 6.) → 28.7(’18. 6.)


6월 국내선 여객은 내륙노선에서 0.6% 증가하였으나, 제주노선에서 감소세(-1.1%)를 보여 전년 동월 대비 0.8% 감소한 283만 명을 기록했다.
* 국내여객(만 명): 207(’14. 6.) → 196(’15. 6.) → 269(’16. 6.) → 285(’17. 6.) → 283(’18. 6.)

공항별로는 울산(70.2%)·광주(5.5%)·인천(3.9%)공항 등은 증가하였으나, 청주(-13.4%)·여수(-3.6%)·김포(-2.8%)공항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국내여객 운송량은 116만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5% 감소,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167만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3% 증가했으며 저비용항공사의 분담률은 58.9%를 기록했다.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50(’14. 6.) → 57(’15. 6.) → 55.4(’16. 6.) → 55.5(’17. 6.) → 58.9(’18. 6.)

6월 항공화물은 중국(12.4%)·일본(8.4%)·대양주(6.2%) 등 국제화물의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4.1% 성장한 36만 톤 기록했다.
* 항공화물(만 톤): 29.7(’14. 6.) → 29(’15. 6.) → 33.7(’16. 6.) → 34.7(’17. 6.) → 36.2(’18. 6.)
* 수하물 제외 항공화물(만 톤): 22.2(’14. 6.) → 22.1(’15. 6.) → 24.5(’16. 6.) → 25.4(’17. 6.) → 25.7(’18. 6.)


국제화물의 경우 화물기 운항증대(2,972→3,033회, 2.1%) 및 여객증가에 따른 수하물(13.5%)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4.8% 증가했다.
* 국제화물(만 톤): 27.6(’14. 6.) → 27.1(’15. 6.) → 31.5(’16. 6.) → 32.5(’17. 6.) → 34(’18. 6.)
* 수하물 제외 국제화물(만 톤): 21.2(’14. 6.) → 21.2(’15. 6.) → 23.5(’16. 6.) → 24.4(’17. 6.) → 24.9(’18. 6.)


국내화물의 경우 제주(-5.6%) 및 내륙노선(-0.6%) 하락세로 전년 동월 대비 5.4% 감소한 2.1만 톤을 기록했다.
* 국내화물(만 톤): 2.1(’14. 6.) → 1.9(’15. 6.) → 2.3(’16. 6.) → 2.3(’17. 6.) → 2.1(’18. 6.)
* 수하물 제외 국내화물(만 톤): 0.96(’14. 6.) → 0.91(’15. 6.) → 0.95(’16. 6.) → 0.92(’17. 6.) → 0.81(’18. 6.)


‘18년 상반기 실적

상반기 국제선 여객은 내국인 해외여행 수요증가, 저비용 항공사 공급석 확대(28.8%)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6% 성장한 4,223만 명을 기록했다.
* 국제여객(만 명): 2,673(’14. 상.) → 3,030(’15. 상.) → 3,494(’16. 상.) → 3,717(’17. 상.) → 4,223(’18. 상.)

지역별로는 일본(19.8%)·동남아(14.6%)·유럽(11.6%) 지역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증가하며 국제선 여객성장을 견인했다.

중국 노선도 757만 명을 기록하여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16년 상반기에 비해서는 여전히 감소세(-21.4%)를 보였다.
* 중국노선 : (‘16.상) 964만 명 → (’17.상) 699만 명 → (‘18.상) 757만 명

공항별로는 청주(-1.4%)공항*을 제외한 양양(534.7%)·무안(65.4%)·대구(54.4%)·제주(22.9%)공항 등 대부분 공항에서 성장세를 나타냈다.
* 일본(0→113회), 태국(0→33회), 베트남(29→110회) 등 운항 증대 및 노선 다변화에도 불구하고 여행수요가 많은 중국노선(710→583회) 운항 감소가 원인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국제여객 운송량은 1,685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하였고, 저비용항공사는 1,223만 명으로 31.3% 증가하여 국적사 분담률은 68.8%*를 기록했다.(대형 39.8%, 저비용 29%)
* 국적항공사 분담률(%): 63.9(’14. 상.) → 62.8(’15. 상.) → 64.4(’16. 상.) → 67.4(’17. 상.) → 68.8(’18. 상.)저비용항공사 분담률(%): 11.6(’14. 상.) → 13.2(’15. 상.) → 17.9(’16. 상.) → 25.1(’17. 상.) → 29(’18. 상.)

상반기 국내선 여객은 제주-광주(17.8%), 김포-김해(2.4%)노선 증가에도, 주요 노선인 김포-제주(-3%), 김해-제주(-6.6%), 제주-청주(-10.8%)노선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를 기록했다.
* 국내여객(만 명): 1,165(’14. 상.) → 1,320(’15. 상.) → 1,486(’16. 상.) → 1,591(’17. 상.) → 1,584(’18. 상.)

공항별로는 청주(-10.8%)·김해(-2.6%)·김포(-1.9%)공항 등은 감소율을 보였으나, 울산(76%)·광주(12.8%)공항 등은 증가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의 국내여객 운송량은 658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감소한 반면 저비용항공사는 926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으며, 저비용항공사의 분담률은 58.4%를 기록했다.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49('14. 상.) → 53.6('15. 상.) → 56.3('16. 상.) → 56.8('17. 상.) → 58.4('18. 상.)

상반기 항공화물은 전자상거래 시장 확대에 따른 화장품 및 의류 품목과, 의약품 등 고부가가치 화물 수송 증가 등으로 국제화물 물동량이 상승하여 전년 동기 대비 3.5% 성장했다.
* 항공화물(만 톤): 179(’14. 상.) → 188(’15. 상.) → 194(’16. 상.) → 210(’17. 상.) → 217(’18. 상.)
* 수하물 제외 항공화물(만 톤) : 134(’14. 상.) → 138(’15. 상.) → 139(’16. 상.) → 151(’17. 상.) → 153(’18. 상.)


국제화물의 경우 중국(6.5%)·대양주(6.4%)·일본(5.9%)을 중심으로 전 지역의 성장세로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했다.
* 국제화물(만 톤): 166(’14. 상.) → 174(’15. 상.) → 180(’16. 상.) → 196(’17. 상.) → 204(’17. 상.)
* 수하물 제외 국제화물(만 톤): 127(’14. 상.) → 130(’15. 상.) → 132(’16. 상.) → 145(’17. 상.) → 146(’18. 상.)


국내화물의 경우 제주 및 내륙노선이 각각 5.6%, 0.6% 감소하여, 전체 국내화물은 14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 하락했다.
* 국내화물(만 톤): 13.2(’14. 상.) → 14.2(’15. 상.) → 14.3(’16. 상.) → 14.3(’17. 상.) → 13.6(’18. 상.)
* 수하물 제외 국내화물(만 톤): 7(’14. 상.) → 7.3(’15. 상.) → 6.9(’16. 상.) → 6.8(’17. 상.) → 6.1(’18. 상.)


‘18년 하반기 전망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원달러 환율 상승 및 국제유가에 따른 유료 할증료 인상 등의 부정적인 요인은 있으나, 여름 성수기와 추석연휴,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등으로 항공여객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첨부파일180726(조간) 상반기 항공여객 5807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 기록(항공정책과).hwp180726(조간) 상반기 항공여객 5807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 기록(항공정책과)1.pdf
목록보기
다음글
(국토교통부) 18년 7월 항공여객995만 명...전년 동월 대비 6.2% 증가
이전글
(국토교통부) 18년 10월 신규 임대사업자 11,524명 및 임대주택 2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