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부천, 문화로 발전하고 경제로 도약하는 부천
행정규제개혁 게시판 내용보기
(관세청)’16년 6월 농축수산물 수입가격 동향
담당부서예산법무과구분작성일2016-10-26

’16년 6월 농축수산물 수입가격 동향
- 이상기온으로 인한 현지 어획량 감소로 수산물 수입가격 상승 지속 -

 

 

1. 수입가격지수 동향


□ ’16년6월 농축수산물 수입가격지수는 96.3(2010.1월=100.0)으로 전월 대비 0.7% 상승한 반면, 전년 동월 대비 14.2% 하락하였음
 ㅇ (농산물) 81.3으로 전월 대비 1.0% 상승, 전년 동월 대비 24.3% 하락
 ㅇ (축산물) 140.0으로 전월 대비 2.1% 상승, 전년 동월 대비 2.2% 하락
 ㅇ (수산물) 96.9로 전월 대비 3.0% 하락, 전년 동월 대비 1.6% 상승

 


2. 주요 품목별 수입가격* 동향
 * CIF가격에 관세 등 제세를 합친 금액을 중량으로 나눈 kg당 평균가격.


□ 수입가격 변동의 주요 원인으로는 환율, 수입 국가 전환, 날씨 등의 요인에 따른 현지 생산량 감소로 수입가격이 변동된 것으로 분석됨
 ㅇ 양념채소류·일반채소류·농산물 가공제품은 전년 동월 대비 전반적으로 수입 가격이 상승한 반면, 곡물류·과일류·견과류는 전반적으로 하락
   - [마늘(냉동)] 주요 수입국인 중국의 작황부진에 따른 재고물량 부족으로 전년 동월 대비 수입 가격이 상승
   - [양파(신선,냉장)] 산지의 양호한 작황상태로 인한 공급 과잉으로 3개월 연속 수입 가격이 하락*하였고, 전년 동월 대비 저세율인 양허(추천)수입량 증가도 전년 동월 대비 양파 수입가격 하락에 영향
    * (’16.3) 1,305원/Kg → (’16.4) 1,225원/Kg → (’16.5) 1,116원/Kg → (’16.6) 719원/Kg
   - [당근(신선,냉장)] 주요 산지 가뭄에 의한 재고물량 부족으로 전년 동월 대비 수입 가격이 상승한 반면,
   - [양배추(신선,냉장)] 주요 수입국인 중국의 양호한 작황상태로 생산량이 증가하여 전년 동월 대비 수입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보이며,
   - [포도(신선)] 상대적으로 고가인 미국산 수입의 증가*로 인하여 전년 동월 대비 수입가격 상승률이 높게 나타남
    * 칠레산 : (‘15.6)76.1% → (‘16.6)60.2%, 미국산 : (‘15.6)23.9% → (‘16.6)39.8%
   - [두부] 중국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인 일본산 수입의 증가*가 전년 동월 대비 수입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분석되며,
    * 중국산 : (‘15.6)100.0% → (‘16.6)51.8%, 일본산 : (‘15.6)0% → (‘16.6)45.9%
    - [밀가루] 고가의 프랑스산 유기농 밀가루의 수입량 증가*가 전년 동월 대비 수입가격 상승을 견인했다.
    * 러시아산 : (‘15.6)46.0% → (‘16.6)0%, 프랑스산 : (‘15.6)4.0%→(‘16.6)10.1%
 ㅇ 소고기(△1.2%)·돼지고기(△4.3%)·닭고기(△22.9%) 및 축산물 가공제품은 전년 동월 대비 수입 가격이 하락하였으며,
   - 주요 수입국으로 소고기는 호주(49.6%)·미국(39.8%), 돼지고기는 미국(33.8%)·독일(14.6%)·캐나다(11.8%)·스페인(11.1%)·칠레(10.6%), 닭고기는 브라질(92.8%)로 분석되었다.
 ㅇ 활어, 신선어류, 주요 냉동어류는 전년 동월 대비 수입 가격이 상승하였다.
   - 명태(신선,냉장), 가리비(신선,냉장), 갈치(신선,냉장), 꽃게(냉동), 갈치(냉동)는 이상기온에 따른 현지 어획량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수입가격이 상승하였으며, 환율의 영향도 일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월평균 환율(원/100엔) : ’15.6월(898.97) → ’16.6월(1,107.53)


 

 

□ 관련통계 : 붙임

*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17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음.

 

첨부파일1607266월+농축수산물+수입가격+동향v21.hwp1607266월+농축수산물+수입가격+동향v21.pdf
목록보기
다음글
(한국은행)2016년 7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이전글
(한국은행)2016년 2/4분기중 외환시장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