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에서는 1997년 이후 매년 여성주간(7.1~7.7)마다 부문별 여성의 모습을 조명하는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을 작성해오고 있습니다. 「2014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은 여성가족부와 협력하여 작성하였으며, 특히 금년에는 『미취학 자녀가 있는 여성의 생활 및 의식』에 대한 자료를 상세하게 분석하였습니다.
■ 미취학 자녀가 있는 여성의 생활 및 의식 (여성 취업에 대한 견해) 미취학 자녀가 있는 여성 10명 중 9명(90.9%)은 ‘직업을 가지는 것이 좋다’는 견해를 갖고 있음 (여성 취업 장애요인) 여성의 취업을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미취학 자녀가 있는 여성의 72.8%가 ‘육아부담’을 꼽았음 (향후 늘려야 할 공공시설) 미취학 자녀가 있는 여성 2명 중 1명(49.0%)은 향후 필요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 하는 공공시설에 ‘국·공립 어린이집’이라고 응답함 (주말이나 휴일의 여가활용) 미취학 자녀가 있는 여성 10명 중 7명(69.1%)은 주말이나 휴일에 ‘가사일’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남
■ 여성인구 (인구) 2014년 여성인구는 2,520만 4천명으로 총인구의 50.0%를 차지 (여성가구주) 2014년 우리나라의 4가구 중 1가구(27.9%)는 여성이 가구주
■ 여성의 건강 (건강관리) 2012년 기혼여성의 건강관리 실천율이 미혼여성보다 높게 나타남 (기대여명) 2012년 여성의 기대수명은 84.6년, 유병기간을 제외한 기대여명은 66.7년
■ 여성의 경제활동 (경제활동참가율) 2013년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0.2%로 남성(73.2%)보다 23.0%p 낮아 (임금격차) 2013년 여성의 임금은 남성의 68.1% 수준으로 꾸준한 상승세 (육아휴직) 2013년 육아휴직 사용자는 여성이 6만 7,323명, 남성이 2,293명으로 지속적인 증가세 (경력단절여성) 2013년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20.1%
■ 여성의 문화와 여가 및 안전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 2013년 여성의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 비율은 63.8%, 이 중 ‘영화관람’이 88.1%로 가장 많아 (여가활용) 2013년 여성의 주말이나 휴일의 여가활용 방법은 ‘TV 및 비디오 시청’, ‘가사일’, ‘휴식’ 순임
※ 자세한 사항은 첨부된 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